청동은입인동문향로
- 권역정보 서북부권
- 문화관광 기타
- 관광구분 유적지
- 소재지 익산시 웅포면 백제로 495-57
- 문의처 063-862-6394
- 홈페이지
- 문화재구분 지방지정 문화재
- 문화재분류 유형문화재
- 문화재제작연대 조선시대
서북부권

청동은입인동문향로 둘러보기


관광지 개요
상세정보
조선시대의 향로 청동은입인동문향로
청동은입인동문향로(靑銅銀入忍冬紋香爐)는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 숭림사(崇林寺)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로이다. 향로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준다는 의미를 가진 향을 피우는 데 사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이 향로의 전체 높이는 110㎝이고 몸체 높이 80㎝, 뚜껑 높이 30㎝, 다리 높이 25㎝이다.
고려시대 충목왕(忠穆王) 원년인 1345년에 창건된 것으로 전해져 오는 숭림사에 보관·사용되고 있는 이 향로는 둥근 몸통에 뚜껑이 있고 다리가 셋 달린 이른바 삼족형유개향로(三足形有蓋香爐)이다. 좁고 평평한 구연(口緣)에 짧고 직립(直立)된 목을 갖춘 둥근 몸체에는 사자머리[獅子頭] 모양의 조각과 모란(牧丹)·인동문(忍冬文)이 합성된 은입사문양을 서로 대칭되게 배치하였으며, 아무 꾸밈새 없이 단순 처리된 다리가 세 개 달려 있다.
사자 조각으로 장식된 청동은입인동문향로
구연 일부가 깨어져 금이 갔을 뿐 거의 완전한 모양의 반원형 뚜껑꼭대기에는 꼬리를 치켜들고 머리를 왼쪽으로 돌린 채 웅크리고 앉아서 왼쪽 앞발로 구슬을 굴리고 있는 한 마리의 사자가 조각되어 있는데, 용맹스러운 얼굴 표정과 목덜미의 갈기, 소용돌이치듯 휘감겨 있는 꼬리털의 표현, 탄력적이며 자연스러운 모습 등이 돋보인다.
그리고 사자 좌우로는 삼엽화(三葉花) 모양의 구멍 두 개를 뚫어 놓아 향연(香煙)이 빠져 나오도록 하였다. 전체적으로 원래의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는 이 향로의 사자뚜껑은 고려시대의 방형청동은입사사자뚜껑향로(方形靑銅銀入絲獅子―香爐, 서울 개인소장)와 닮아 있지만, 유교식 향로의 형태를 따르고 있는 삼족 구비의 노신(爐身)과 조각기법으로 미루어 보아 조선시대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키워드/검색
찾아오시는길
주소 | 익산시 웅포면 백제로 495-57 |
---|---|
자가용이용 | 경부고속도로 한남IC - 천안논산고속도로 천안분기점 - 연무IC 강경 방면으로 우측방향(68번 지방도) - 산양사거리 익산|함열 방면으로 좌회전(강경로) - 덕용교차로 군산|함라 방면으로 우측방향(함안로) - 금성교차로 웅포|숭림사 방면으로 우측방향(724번 지방도) - 숭천사거리 숭림사 방면으로 우회전(백제로) |
지역간 대중교통 |
기차
용산역-익산역
KTX:1시간55분소요 새마을호,무궁화호(영등포역경유):약3시간
버스
동서울터미널-익산시외버스터미널
남부터미널-익산시외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익산고속버스터미널 |
지역내 대중교통 | 46 |
청동은입인동문향로 주변정보
검색된 내역이 없습니다.
검색된 내역이 없습니다.
검색된 내역이 없습니다.
- {title} (거리 {distance}km)
- {address}
- {phone}
정보관리
- 담당부서 문화관광산업과
- 전화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