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왕궁박물관

로그인 사이트맵

백제왕궁박물관 인스타그램

상설전시
본문 시작
  • 전시·예약
  • 상설전시
  • 왕궁의 생활문화

상설전시

백제왕궁박물관은 5개의 테마형식으로 구성되며 관람순서에 맞게 관람하시면 좋습니다.
  • 백제왕궁 왕궁리유적 관련사진01

4부. 왕궁의 생활문화

왕궁의 화장실
  • 백제왕궁에서 백제 대형 화장실유적 세 곳이 확인되었습니다. 화장실유적 공동화장실로, 구덩이 안에 오수가 일정한 높이로 차게 되면 수로를 통과하여 궁장 밖으로 빠져나가는 위생적이고 과학적인 구조입니다. 발굴 당시 구덩이 안에서 참외 씨, 굴 껍데기, 뒤처리용 막대기와 회충·편충 알 등이 발견되어 화장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화장실유적은 백제인들의 식생활 문화를 들여다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본의 고대 화장실과 비교할 수 있는 귀한 자료입니다.
왕궁의 정원
  • 백제왕궁에서 백제정원유적이 확인되었습니다. 정원은 왕이 휴식을 취하거나 사신 등을 접대하는 공간입니다. 정원은 독특한 돌과 장대석, 강자갈을 이용하여 장식한 중심 시설과 수조, 경치를 내려다볼 수 있는 정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바위나 산, 강과 같은 자연경관을 작은 규모로 재현하였다는 점에서 자연 친화적인 정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원을 꾸미는 데 사용한 조경석 중 *어린석魚鱗石은 중국에서 들여온 것으로, 정원을 꾸미기 위해 돌을 수입할 만큼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린석魚鱗石: 물고기 비늘을 닮았다고 하여 어린석이라 부름
왕궁의 공방
  • 백제왕궁에는 왕실에서 필요한 귀중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공방유적이 확인되었습니다. 공방유적에는 불에 탄 흙, 숫돌, 슬래그 등과 함께 금속과 유리 원료를 녹이는 도가니 300여 점이 출토되었습니다. 백제 공방에서 출토된 금제품은 다양한 가공 기술로 제작하였으며, 용도에 따라 금·은 합금의 차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도 했습니다. 7~8세기 일본 종합공방유적인 아스카이케유적에서도 왕궁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한 도가니와 생산 제품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두 나라 사이에 유리 제작 기술의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왕궁의 부엌
  • 백제왕궁에는 음식을 만들거나 조리와 관련 있는 물건을 보관하는 부엌 유적이 확인되었습니다. 부엌 유적에는 불을 피우는 부뚜막, 식자재와 조리 도구를 보관하는 공간, 식기류를 씻는 공간으로 보이는 배수로가 확인되었습니다. 그리고 불에 그을려 검붉게 변한 벽체화 많은 양의 숯, 철제 솥, 음식을 담는 항아리와 병이 나왔습니다. 왕궁의 부엌은 고대 주방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귀한 자료입니다.
왕궁의 토기
  • 백제에는 중국과 고구려 식기의 영향을 받아 청자완을 본뜬 형태의 그릇과 전달린토기, 굽달린사발이 많이 만들어집니다. 백제왕궁에서는 전달린토기, 굽달린사발, 접시, 항아리, 변기모양 토기, 등잔, 벼루 등 다양한 종류의 토기가 출토되었습니다. 특히 전달린토기와 굽달린 사발은 고은 흙을 엄선해서 모양과 크기를 균일하게 만들었습니다. 당시에 신분이 높은 이들만이 사용할 수 있는 그릇으로 백제 도성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습니다.
왕궁의 도장을 찍은 기와
  • 왕궁에서는 기와의 표면에 도장을 찍은 기와가 60여 종류 넘게 확인되었습니다. 도장 내용을 보면 백제의 행정구역 명칭, 연대, 생산자 이름, 상징적인 기호 등 다양합니다. 기와 생산 과정이나 검수 과정에서 생산지나 생산자, 생산연대, 기와의 사용처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대표 유물
  • 화장실 (뒷처리용 막대기)화장실
    (뒷처리용 막대기)
  • 정원 (어린석)정원
    (어린석)
  • 공방 (금제품)공방
    (금제품)
  • 공방 (도가니)공방
    (도가니)
  • 부엌 (철솥)부엌
    (철솥)
  • 토기토기
  • 토기토기
  • 도장을 찍은 기와도장을 찍은 기와
  • 도장을 찍은 기와도장을 찍은 기와
  • 도장을 찍은 기와도장을 찍은 기와
  • 도장을 찍은 기와도장을 찍은 기와
  • 도장을 찍은 기와도장을 찍은 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