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으로 바로가기

공지사항

home홈 > 커뮤니티 > 공지사항

2021년 여름철 축사관리 요령

작성자
신동
작성일
21.07.14
조회수
171

풍수해대비축산분야안전관리대책.hwp (63 kb) 전용뷰어

여름철 축산분야 안전관리 대책

 

  • 대비 축산 분야 안전관리 대책

 

사전대책

붕괴위험이 있는 축대 보수 및 축사 주변 배수로 정비

목초는 9cm 정도 높이로 베어주고 초지나 사료작물 등은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방지

축사의 지붕과 벽을 손질하여 비 피해 예방

깔 짚을 자주 갈아주어 축사를 청결히 하고 축사 소독 실시

사료는 비에 맞지 않도록 잘 보관하여 변질을 방지하고, 변질된 사료는 먹이지 않도록 함

축사 주위 배수로 정비, 침수 우려 가축 안전지대 대피

 

사후복구대책

축사 침수 시 신속히 가축 대피

응급복구 및 철저한 예방접종 실시

젖은 풀이나 변질된 사료를 주지 않도록 하여 고창증 예방

땅이 질고 습한 초지에는 방목을 시키지 않도록 하여 목초피해

  • 전기설비 안전관리 및 전기화재 예방 요령

 

축사 전기설비 안전관리

농장 규모에 맞는 전력 사용

전기설비 점검과 개보수는 전문업체에 의뢰

환풍기, 보온등, 온풍기 등 전기기구와 전선의 관리 철저

전선, 전기기구 주변의 먼지나 거미줄 등 주기적으로 청소

문어발식 배선금지

노후화된 개폐기, 차단기는 즉시교체

누전차단기는 월 1회 작동시험

파손된 플러그와 노후화 된 콘센트 등 노후 전기시설 즉시 교체

축사에 전선 등 배선은 방수용 전선을 사용하고 노후전선 즉시교체

쥐 등에 의해 손상 받을 우려가 있는 전선은 배관공사를 실시

사용환경이 가혹한 곳에서는 내열성, 내후성 있는 전선으로 교체

분전반 내부 및 노출전선, 전기기계·기구의 먼지제거 등 청결유지

감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전기기계·기구에는 접지시설 확인 및 시공

모든 전선의 접속부는 견고히 접속

축사 내 소화기 비치 및 소방차 진입로 확보

축사 화재 등 재해대비 재해보험 가입

 

전기화재 발생 주요 원인 및 예방법

합선(단락)에 의한 화재

전기기기나 회로의 절연체가 전기적 또는 기계적 원인으로 열화 및 파괴되어 합선에 의하여 발화되는 것

예방

- 전선 고정에 못, 스태플 등 사용 금지

- 전열기에 온도조절장치 부착

- 전기시설 노후전선 교체

- 단자와 연결부분 접속부 수시점검 필요

* 풀린 나사 재조임 실시

과전류에 의한 화재

모터, 전기 소비량이 많은 전기기구나 전기장치를 동시에 사용하여

과부하로 인해 부하전류가 증가하여 과열, 발열하게 됨

예방

- 문어발식 배선 금지

- 많은 전류가 흐르는 기구를 동시에 사용 금지

* 가능한 전용의 콘센트를 설치

- 전선은 규격 이상 전선을 사용하고 반드시 정격퓨즈를 사용 할 것

누전에 의한 화재

전기기구 파손, 불량 전기배선 등이 접지 물건과 접촉 또는 전선피복 손상 등으로 누설전류가 발생되어 열의 축척으로 발화

예방

- 누전차단기 설치

- 파손된 기기는 수리 또는 교환

- 수시로 절연상태(누전여부) 확인

스파크에 의한 화재

스파크는 전기회로를 개폐할 때 또는 단락 될 때 전기기구 접촉부분의 불량 등에 의해 발생

예방

- 스위치에 보호용 캡 사용

- 스위치 내부나 주위에 분진 등 퇴적물 수시로 제거

- 각종 개폐기 조작부는 가연성 물질이 체류 할 수 없는 장소에 설치

- 스파크가 많이 발생하는 장소 근처에는 인화성 물질을 취급 금지

전기기기 취급 부주의에 의한 화재

이상이 없는 전기기기라도 취급을 잘못하면 화재를 일으키게 되며

무리하게 사용해도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음

- 사용 중인 전열기기 위에 가연물이 떨어져 발화

예방

- 사용하지 않는 전열기구는 반드시 플러그를 뽑아 둘 것

- 전기난로 및 가스기구 등은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여 설치하고 주변의 인화성 물질을 제거

  • 시 농업인 행동요령

사전 준비사항

- 집에서 가까운 병원이나 보건소의 연락처를 확인하고 본인과 가족의 열사병 등 증상을 체크하세요.

- 냉방기기 사용시는 실내외 온도차를 5내외로 유지하여 냉방병을 예방하세요.(건강 실내 냉방온도는 26 - 28가 적당)

폭염주의보 발령시

농작업 현장에서는

- 휴식시간은 장시간보다는 짧게 자주 가지세요.

- 시설하우스나 야외에서 장시간 작업시에는 아이스팩이 부착된 조끼를 착용하세요.

- 농기계의 냉각장치를 수시로 점검하여 과열을 방지하세요.

- 작업중 매 15 - 20분 간격으로 1컵 정도의 시원한 물(염분)을 섭취하세요(알코올, 카페인이 있는 음료는 금물)

하우스축사에서는

- 축사 천장에는 스티로폼 등 단열재를 부착하세요.

- 창문을 개방하고 선풍기나 팬 등을 이용 지속적인 환기를 실시하며 적정 사육밀도를 유지하세요.

- 돈사, 계사 천장에 물분무장치를 설치하여 복사열을 방지하세요.

- 하우스내 피해예방을 위해 차광시설, 점적관수, 수막시설을 설치하세요.

- 노지 재배채소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관수작업을 실시하세요.

폭염 경보 발령시

농작업 현장에서는

- 고령, 독거노인, 신체허약자, 성인병환자 등은 야외작업이나 시설하우스 작업을 하지 않도록 가족과 이웃에게 알려주세요.

- 시설하우스나 야외에서 장시간 작업시에는 장시간 작업을 피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아이스팩이 부착된 조끼를 착용하세요.

- 기온이 최고에 달하는 오후 2오후 5시 사이에는 시설하우스나 야외 작업을 중지하고 휴식을 취하세요.

- 야외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빠른 동작을 삼가세요.

하우스축사에서는

- 가축에게는 깨끗한 물을 제공하고 비타민, 광물질을 섞은 사료를 먹이세요.

- 곰팡이가 피거나 오래된 사료는 공급하지 마세요.

- 가축 폐사시는 신속하게 시군구 방역기관에 신고하고 방역기관의 조치에 따르세요.

- 축사 등의 분뇨제거와 건조상태를 유지하세요

- 전기누전과 합선, 과열 등으로 인한 화재발생이 우려되므로 냉방과 환기시는 전기사용량을 수시로 확인하세요.

- 하우스내 피해예방을 위해 차광시설, 점적관수, 수막시설을 가동하세요.

- 노지 재배채소는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관수작업을 실시하세요.

 

< 이전글
주민등록 거주불명등록자 행정상 관리주소 이전 공고
> 다음글
주민등록 거주불명등록자 행정상 관리주소 이전 공고 (2차)

목록 수정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