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으로 바로가기

공지사항

home홈 > 커뮤니티 > 공지사항

저온·늦서리 피해예방을 위한 과원관리 요령

작성자
여산면
작성일
23.04.04
조회수
486

개화기전후저온및서리피해리플릿.pdf (5630 kb) 전용뷰어

과수 저온피해 발생시기 : ('19) 4. 3. ~ 4. 4. ('20) 4. 5. ~ 4. 9. ('21) 4. 14. ~ 4. 15.
 

저온·늦서리 피해예방을 위한 과원관리 요령

 

 

1

 

저온 및 늦서리 피해 받기 쉬운 조건

대체적으로 낮기온이 낮고, 오후 6시 기온이 10, 오후 9시 기온이 4이하이고 하늘이 맑고 바람이 없을 때

과원은 산지로부터 냉기류의 유입이 많은 곡간, 평지사방이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지역, 산간지로 표고 250m 이상 되는 곡간 평지의 과원

지형은 이동성 고기압이 자주 통과하는 지역, 내륙기상으로 기온일변화가 심한 지역, 사방이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에서 피해를 많이 받음

 

 

2

 

저온 및 늦서리 피해 양상

일반적으로 잎보다는 꽃이나 어린과실이 피해를 받기 쉽고, 화기 중에서는 배주(胚株)가 저온에 약함

화기발육 초기단계에서 피해를 받으면 꽃잎이 열리지 않거나, 열려도 암수술 발육이 매우 나쁘고, 갈변되어 꽃자루가 짧아짐

개화기 전후로 피해를 입으면 암술머리와 배주가 흑변되고, 심한 경우 개화하지 못하고 고사거나, 개화하더라도 결실되지 않고 수정이 되어도 과경이 굴곡되며 기형과가 되어 조기 낙과

잎에 나타나는 피해 증상으로는 잎이 오그라들거나 어린잎은 물에 삶은 것처럼 되어 검게 마르고, 가지는 목질부가 갈변되기도 함

꽃이 떨어진 후 피해가 심하면 어린 과실이 흑갈색으로 변하고 1~2주 후에 낙과

 

 

3

 

피해 예방 사전 대책

연소법(燃燒法)

- 톱밥, 왕겨 등을 태워서 과원 내 기온을 높여주는 방법

- 과원 주위에는 많이 배치하고, 안쪽에는 드물게 배치하여 과원 내부 온도가 고루 올라가도록 조치

방상선팬 의한 송풍법(送風法)

- 철제 파이프 위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날개가 부착되어 있어 기온이 내려갈 때 모터를 가동시켜 송풍시키는 방법

- 작동온도는 발아 직전에는 2전후, 개화기 이후에는 3정도에서 설정하고 여러 대가 동시에 가동되지 않도록 제어기에서 510초 간격을 둠

- 가동 정지온도는 일출이후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설정온도보다 2정도 높게 하여 줌

살수법(撒水法)

-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살수로 물이 얼음으로 될 때 방출되는 잠열(潛熱)을 이용하는 방법

- 과수원의 온도가 12되면 살수시스템을 가동하고 일출 이후에 중단

* 기온이 빙점일 때 살포를 중지하면 나무 온도가 기온보다 낮아 피해가 크게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중단되지 않도록 충분한 물량 확보 필요

 

 

4

 

피해 과원 사후대책

피해 과원이 그 후의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다음해 개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적과, 병해충 관리 등 재배관리 철저

결실량 확보를 위해 중심화에 피해를 입은 경우 피해상황을 확인하고 측화를 선택하여 인공수분 실시하고, 수관 상부의 꽃들은 피해가 비교적 적게 받으므로 정성을 기울여 수분작업을 실시

열매솎기는 착과가 끝난 후 실시하고 마무리 열매솎기도 기형과 등 장해가 뚜렷이 확인되는 시기에 실시

잎에 피해가 심할 경우 착과량을 줄여주고, 낙화 후 요소를 엽면 시비로 잎의 활력 및 수세회복 만전

 

< 이전글
2023년 농촌주택개량사업 추가신청 안내
> 다음글
2023년 전북 주요농산물 가격안정 지원사업 신청·접수(건고추, 생강, ..

목록 수정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