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행복한 품격도시 익산시 입니다

검색열기

홈 > 시민참여 > 시정홍보 > 행복한뉴스 > 익산자랑거리

[익산의 재발견 #35] 조선시대 현존 최고(最古) 과거 합격증서?!
홍보담당관 2017-01-10


# 연안 이씨 종중문적 ‘이숭원 백패교지

 

 
“개인의 성적표도 세월을 덧입으면 국가적인 보물이 될 수 있다?!”

 


지난 8일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전국에서 일제히 치러졌다. 긴장 속에서 66만 8천 여 명의 수험생들이 수능시험성적표를 기다리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994년 시작되었으며 이전에는 학력고사, 예비고사 등이 있었다. 그리고 시대를 더 거슬러 올라가 조선시대에는 과거제도가 있다. 과거 가운데 소과에 해당하는 생원, 진사시험의 최종 합격자에게 합격증서인 백패를 내려주었다.

 

 
현재 수능시험성적표라 할 수 있는 백패는 어떻게 생겼을까? 이는 현재 미륵사지유물전시관에 소장되어 있는 연안 이씨 종중문적을 통해 알 수 있다.

 

 
연안 이씨 종중문적은 익산시 삼기면 기산리 현동에 거주하는 충간공 이숭원(李崇元)의 후손들에게 전해진 공신회맹록 6책, 충간공의 좌리공신녹권 1축, 그리고 교지(敎旨) 18매 등에 이르는 고문서를 말한다.

 

 
이는 한 집안의 내력뿐만 아니라 조선 전기의 서지학을 연구하는 중요자료로서 1979년 2월 보물로 지정되었다.

 

 
교지는 이숭원을 비롯해 그의 아버지 보정(補丁), 손자 계륜(繼倫) 등이 1420년(세종 2)부터 1546년(명종 1)사이에 받은 것이다. 여기에는 조선 세종 2년(1420)에 이숭원의 아버지 이보정에게 내린 문과급제 교지 1건, 이숭원에게 내린 교서 10건, 그리고 이숭원의 할아버지인 이백겸에게 내린 증직교서 1건, 이계륜에 관한 것이 6건이 있다.

 

 
“교지(敎旨)

 

유학이숭원생원 삼등제십팔인(幼學李崇元生員 三等第十八人 入格者)

 

경태원년구월초오일(景泰元年九月初五日)“

 


이는 1450년 9월 5일에 이숭원이 생원 3등 제18인으로 입격(入格)하고 받은 백패교지이다. 이 백패는 백지 반폭에 초서로 그 성명과 성적의 등급 및 등수를 쓰고 발급연월일 위에 과거지인(科擧之印)을 찍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현전하는 백패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 이숭원 좌리공신교서(李崇元 佐理功臣敎書)는 성종 3년(1472)에 공을 세운 이숭원에게 좌리공신 3등에 임명한 문서로 일종의 공훈장이다. 이 문서는 비단에 쓴 두루마리로 되어 있고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이 찍혀 있다.

 


공신회맹문은 성종 때부터 숙종 때까지의 사이에 충간공의 직계 후손들이 공신회맹에 참여한 맹문(盟文)을 인쇄해 내사(內賜 : 임금이 신하에게 물건을 비공식적으로 내려줌)해 준 책 들이다.

 


이는 1474년에 간행된 갑인자본(甲寅字本) 팔공신회맹문(八功臣會盟文), 중종 연간에 간행된 갑인자본 정국공신회맹문(靖國功臣會盟文), 선조 연간에 간행된 재주(再鑄) 갑인자본 광국공신회맹문(光國功臣會盟文), 선조 연간에 간행된 훈련도감자본(訓鍊都監字本) 호성공신회맹문(扈聖功臣會盟文), 인조 연간에 간행된 훈련도감자본 십칠공신회맹문(十七功臣會盟文), 숙종 연간에 간행된 무신자본(戊申字本) 이십공신회맹문(二十功臣會盟文) 등6책 이다.

 

            

 

팔공신회맹문에는 회맹문에 기록된 422인 중 167인의 수결(手決)이 있다. 이 중에는 정인지(鄭麟趾)·신숙주(申叔舟) 등 조선 전기 명신들의 수결이 한 책에 수록되어 있어 수결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한편, 조선 전기 문신인 이숭원은 세종 10년(1428)에 참판 이보정(李補丁)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단종 원년(1452)에 25세의 나이로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벼슬이 형조판서, 병조판서에 이르렀으며, 성종 2년(1471) 좌승지에 올랐을 때에 명량좌리공신(明亮佐理功臣)으로 연원군(延原君)에 봉해졌다.

 

 
1485년에는 우참찬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했다. 1491년 별세하였고 예종, 성종 양조의 지덕이 겸비한 충신으로 알려져 충간공(忠簡公)의 시호를 받았으며, 중종 때에는 청백리(淸白吏)로 선임되었다.

 

 

 

홍보담당관 859-5026 


[익산의 재발견 #35] 조선시대 현존 최고(最古) 과거 합격증서?!1

[익산의 재발견 #35] 조선시대 현존 최고(最古) 과거 합격증서?!2

[익산의 재발견 #35] 조선시대 현존 최고(最古) 과거 합격증서?!3

21.jpg (466 kb) 전용뷰어
23.jpg (463 kb) 전용뷰어
22.jpg (218 kb) 전용뷰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