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명칭 | 관리번호 | 지정일자 | 시설종류 | 주소 | 건립년도 | 지방보훈관서 | 비고(관리자) |
---|---|---|---|---|---|---|---|---|
1 | 순국열사비 | 51-1-01 | 2002-11-02 | 비석 | 전북 익산시 주현동 105-7번지 외 3필지 | 1949-04-29 | 익산보훈지청 | 바르게살기협의회 |
2 | 익산 3·1운동 기념비 | 51-1-02 | 2002-11-21 | 비석 | 전북 익산시 창인동 2가 1 | 1971-08-15 | 익산보훈지청 | 익산시 |
3 | 화랑회 이상운의사 추모탑 | 51-1-03 | 2002-11-21 | 탑 | 전북 익산시 마동 219 익산대학 내 | 1991-11-23 | 익산보훈지청 | 익산대학교 |
4 | 이병기선생 생가 | 51-1-10 | 2003-05-30 | 생가 | 전북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진사마을 | 1850-01-01 | 익산보훈지청 | 익산시 |
5 | 백산서원 | 51-1-11 | 2003-05-30 | 기타 | 전북 익산시 모현동2가 9 | 1915-01-01 | 익산보훈지청 | 문중대표 |
6 | 여산 독립만세운동 기념비 | 51-1-33 | 2003-09-15 | 비석 |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초등학교 내 | 2003-05-01 | 익산보훈지청 | 기념사업회 |
7 | 충열사 | 51-1-35 | 2003-09-15 | 사당 | 전북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 산76-53 | 1958-01-01 | 익산보훈지청 | 익산시 |
8 | 의사 우당 홍순갑선생 추모비 | 51-1-37 | 2003-09-15 | 비석 | 전북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639-1 | 1968-11-08 | 익산보훈지청 | 익산시(바르게살기협의회) |
9 | 의병장 오하 이규홍 기념비 | 51-1-52 | 2013-05-13 | 비석 | 전북 익산시 석왕동 산 74-11 | 1983-05-17 | 익산보훈지청 | 기념사업회(익산의병) |
10 | 충령탑(익산시) | 51-2-09 | 2003-09-15 | 탑 | 전북 익산시 팔봉동 368번지 | 1982-06-25 | 익산보훈지청 | 익산시 |
11 | 순직경찰관 충혼탑(익산) | 51-2-10 | 2003-09-15 | 탑 | 전북 익산시 팔봉동 368-1군경묘지 내 | 1976-12-01 | 익산보훈지청 | 익산경찰서 |
12 | 충혼탑(여산면) | 51-2-11 | 2003-09-15 | 탑 | 전북 익산시 여산면 두여리 산44 | 1993-10-05 | 익산보훈지청 | 익산시 |
13 | 6·25 참전 유공자 공적탑 | 51-2-24 | 2005-10-28 | 탑 | 전북 익산시 팔봉동 338-1(군경묘지내 도로변) | 2004-12-15 | 익산보훈지청 | 익산시(6.25참전 익산지회) |
14 | 월남 참전 기념탑(익산) | 51-2-30 | 2009-09-22 | 탑 | 전북 익산시 현영동 23-4 | 2009-01-19 | 익산보훈지청 | 고엽제 익산지회 |
1949. 4. 4 익산지역에서 대규모로 전개된 만세운동과 이 만세운동을 이끌었던 문용기열사 등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한 기념비로 2m 높이로 세워졌다. 이후 문용기열사 동상을 추가하여 현재는 3.1독립운동 기념공원을 조성한 상태이다.
익산 지역에서 전개된 3∙1 독립만세운동을 기리기 위하여 동아일보사와 익산 3.1운동기념비건립협찬회가 세운 기념비로, 1971년 8월 15일에 제막하였다. 기념비의 높이는 2m, 부지 면적은 12㎡이며, 2002년 국가보훈처에서 현충시설로 지정 하였다.